반응형
손가락 관절염은 **뼈와 뼈 사이 연골이 마모되거나, 관절 내 염증이 생기며 통증·뻣뻣함·부종**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. 가장 흔한 원인은 퇴행성 (골관절염), 류마티스 관절염, 건선 관절염, 외상 후 관절염 등입니다. 오늘은 초기 자가 관리부터 약물치료, 물리치료, 수술적 접근까지 자세히 정리합니다.
1. 관절염 유형과 특징
- 골관절염(Osteoarthritis): 연골 마모로 인해 관절이 뻑뻑하고 소리가 나기도 하며, 주로 DIP, PIP, 엄지뿌리 관절에 발생합니다 :contentReference[oaicite:2]{index=2}.
- 류마티스 관절염(RA): 면역체계가 관절을 공격해 염증과 통증, 기능 저하를 유발하며, MCP 관절에 자주 생깁니다 :contentReference[oaicite:3]{index=3}.
- 건선 관절염(Psoriatic arthritis): 손가락 및 손톱 주위 염증, 변형 등이 특징입니다 :contentReference[oaicite:4]{index=4}.
- 외상 후 관절염: 손가락 골절 및 인대 손상 후 연골 손실이나 기형 형성으로 발생합니다 :contentReference[oaicite:5]{index=5}.
2. 주요 증상
- 관절 통증, 부종, 압통
- 이른 아침 뻣뻣함 – 골관절염은 <30분, 류마티스는 길게 지속 :contentReference[oaicite:6]{index=6}.
- 관절 움직임 제한, 크리피투스(뽀드득 소리 포함) :contentReference[oaicite:7]{index=7}.
- MCP·PIP·DIP 관절의 변형과 기능 상실
- 류마티스는 피로감, 전신 증상 동반
3. 자가 관리법 (초기 대응)
- 손가락 스트레칭 & 관절 가동 운동: 혈류 개선, 유연성 유지에 효과적 :contentReference[oaicite:8]{index=8}.
- 온찜질/냉찜질: 급성 염증 시 냉찜질, 만성 통증엔 온찜질 권장 :contentReference[oaicite:9]{index=9}.
- 보조기(스플린트): 밤에 안정된 위치 유지, MCP/PIP 관절 보호 :contentReference[oaicite:10]{index=10}.
- 생활습관 조절: 관절 과도한 사용 피하기, 무리한 그립 동작 제한
- 항염식단: 오메가‑3 풍부 식품, 항산화 음식 권장 :contentReference[oaicite:11]{index=11}.
4. 약물 치료
- NSAIDs: 이부프로펜·나프록센 등 소염 작용으로 통증 및 부종 감소 :contentReference[oaicite:12]{index=12}.
- 경구 스테로이드: 염증이 심할 때 단기간 사용
- DMARDs: 류마티스, 건선성 관절염의 질병 진행 조절용(메토트렉세이트, 설파살라진 등) :contentReference[oaicite:13]{index=13}.
- 국소제: 디클로페낙 젤 등에게 효과적 :contentReference[oaicite:14]{index=14}.
- 보조제: 글루코사민, 오메가‑3 등 보조적 효과 기대 :contentReference[oaicite:15]{index=15}.
5. 물리치료와 작업치료
- 인증된 손 작업 치료사(CHT)가 제작한 관절 운동법 :contentReference[oaicite:16]{index=16}.
- 수동 가동, 강화 운동, 관절 보호 기술 적용
- 일상생활 동작 교정 및 보조 제품(냄비손잡이, 그립기 등) 추천 :contentReference[oaicite:17]{index=17}.
6. 주사 치료 및 비수술적 중재
- 스테로이드 관절 내 주사: 급성 염증 완화에 효과적 :contentReference[oaicite:18]{index=18}.
- 히알루론산 주사: 윤활 개선 및 통증 경감 (퇴행성 관절염)
- 줄기세포·PRP 치료: 연구 중이나 일부에서 효과 보고 있음 :contentReference[oaicite:19]{index=19}.
- 방사성 활막치료(Radiosynoviorthesis): 활막 염증 축소에 도움 :contentReference[oaicite:20]{index=20}.
7. 수술적 치료
- 관절 유합술(fusion): 심한 통증과 변형 시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적용 :contentReference[oaicite:21]{index=21}.
- 관절 치환술(replacement): MCP 등 큰 관절에 인공 관절 삽입 :contentReference[oaicite:22]{index=22}.
- 건 전이 및 재건술: 인대 손상 또는 기능 개선 목적으로 시행 :contentReference[oaicite:23]{index=23}.
8.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
- 아침 뻣뻣함 지속 시간 >30분
- 관절압통, 물렁한 부종, 운동제한
- 관절 소리(크리피투스) 여부
- 일상 동작(문 열기, 글쓰기) 시 통증 유발
- 목, 무릎 등 다른 관절 증상 여부
9. 응급 시 즉시 진료해야 할 경우
- 급성 관절 부종 + 열 + 심한 통증 → **감염성 관절염** 의심
- 급작스런 관절 변형 또는 움직임 상실
- 비정상적인 팔, 손가락 저림·쇠약 동반
📌 요약 버튼
📌 치료별 세부 가이드
✅ 핵심 요약
- 손가락 관절염은 퇴행성, 류마티스, 건선, 외상 후 등 다양한 원인이 있으며 조기 관리가 중요합니다.
- 자가 스트레칭, 찜질, 스플린트 착용 등으로 초기에 충분한 대응이 가능합니다.
- 약물, 물리치료, 보조기, 주사치료 등 단계별 접근이 효과적입니다.
- 변형·기능 제한·통증 지속 시 유합술, 치환술 등 수술 고려.
- 감염·급성 변형→즉시 의료진 상담 필수입니다.
반응형